
학술포럼
-
한국축제포럼의 주력 사업으로 2013년부터 80회 이상을 진행해 왔습니다.
-
축제의 여러 양상에 대한 연구를 통해 축제의 올바른 방향 정립과 축제의 발전 방안을 제시합니다.
-
사단법인 한국축제포럼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대한민국 축제 발전을 위하여 전문가 집단과 교류하며 연구하는 것입니다.
2020년 학술세미나
제82회 (10월) 축제, 연(鳶)으로 잇다
제81회 (9월) 코로나 시대의 축제변화에 따른 대응방안 모색
제80회 (8월) 休, 낭만 그리고 8월의 풍류마스 및
포스트 코로나시대의 축제 변화와 전망 세미나
제79회 (7월) 歲寒然後知松栢 비대면, 온라인(ZOOM)화상회의
제78회 (6월) 긴급좌담 포스트 코로나시대의 축제 방송
(2월) 2020년 사단법인 한국축제포럼 정기총회․회원의 밤
(1월) 2020년 (사)한국축제포럼 전국이사회
2019년 학술세미나
제77회 (12월) "2019년 (사)한국축제포럼 송년회"
제76회 (11월) "축제의 위기관리에 대한 정책제언"
제75회 (10월) "문경새재 아리랑제 학술대회"
제74회 (8월) "영동포도축제 및 무주반딧불이축제 전문가 초청 축제탐방"
제73회 (7월) "대한민국 축제 청년이 답한다"
제72회 (6월) "대한민국 축제, 그 방향성을 다시 묻는다"
제71회 (5월) "2019 영주선비문화축제 축제천문가 초청 축제탐방"
제70회 (4월) "정남진 장흥물축제의 글로벌 대표축제로의 지향"
제69회 (3월) "한국축제포럼어워드(가칭) 제정의 필요성과 운영전략"
제68회 (2월) "2019년 사단법인 한국축제포럼 정기총회․회원의 밤"
제67회 (1월) "2019년 (사)한국축제포럼 신년특별간담회"
2021년 학술세미나
제91회 (11월) 실감콘텐츠와 페스티벌 III_문화기술(CT)과 페스티벌 융복합, 뉴노멀이 되다
제90회 (11월) 실감콘텐츠와 페스티벌 II_실감콘텐츠, 축제를 언택트에서 컨택트로!
제89회 (11월) 실감콘텐츠와 페스티벌 I_위드코로나시대, 지역문화축제의 길을 묻다
제88회 (10월) 세대공감 ‘페스티벌, 청년의 목소리로 말하다’
제87회 (10월) 충주달달문화재야행 전문가초청 축제탐방
제86회 (7월) 메타버스 시대의 페스티벌
제85회 (5월) AI-DS 페스티벌 III_실감콘텐츠 현황과 미래
제84회 (4월) AI-DS 페스티벌 II_감성과학과 테크놀로지
제83회 (3월) AI-DS 페스티벌 I_축제와 실감 콘텐츠 기술
2018년 학술세미나
제66회 (12월) "2018년 (사)한국축제포럼 송년회"
제65회 (11월) "제2회 세종문화예술포럼학술심포지엄"
제64회 (10월) "영동난계국악축제 및 대한민국와인축제 탐방"
제63회 (9월) "세종, 충남지역의 역사문화자산과 축제"
제62회 (8월) "제2회 새만금노마드페스티벌 탐방, 제3회 8월의 풍류마스"
제61회 (7월) "전라남도 여름축제 정남진장흥물축제 탐방"
제60회 (6월) "제29회 한산모시문화제 탐방"
제59회 (6월) "전라남도 3대 여름축제의 분석과 발전방안"
제58회 (5월) "충청북도 음성군 ‘제19회 음성품바축제’ 탐방"
제57회 (4월) "K-Festival" 축제 박람회"
제56회 (3월) "젊은 축제인들의 지역축제발전 제언"
2017년 학술세미나
제55회 (12월) "(사)한국축제포럼 회원의 밤"
제54회 (11월) "(사)한국축제포럼 정책간담회"
제53회 (10월) "동해시 삼화사수륙재 축제 콘텐츠화 방안"
제52회 (10월) "지역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한 거창문화재단의 지향점"
제51회 (9월) "산청한방약초축제 탐방"
제50회 (8월) "충청북도 영동포도축제 탐방"
제49회 (7월) "전라남도 여름축제 정남진 장흥물축제, 강진청자축제 탐방"
제48회 (6월) "제5회 한국축제&여행박람회"
제47회 (5월) "충청북도 최우수축제 ‘음성품바축제’ 탐방"
제46회 (4월) "전라남도 3대 여름축제의 분석과 발전방안"
제45회 (4월) "수원화성문화제 분석과 발전방안"
제44회 (3월) "축제현장감독이 바라본 문제점과 해결방향 모색"
제43회 (2월) "한국축제포럼 대토론회"
2016년 학술세미나
제42회 (12월) "42회 학술세미나 및 송년축제"
제41회 (10월) "강진만 춤추는 갈대축제 발전방안 학술세미나"
제40회 (9월) "강원도 지역의 축제분석과 발전방향"
제39회 (8월) "제2회 팔월의 풍류마스"
제38회 (7월) "충청남도 지역의 축제분석과 발전방향"
제37회 (6월) "제4회 아시아 축제 포럼(THE 4th ASIA FESTIVAL FORUM)"
제36회 (5월) "충청북도 지역의 축제분석과 발전방향"
제35회 (4월) "전라남도 지역의 축제분석과 발전방향"
제34회 (3월) "경기도 지역의 축제분석과 발전방향"
제33회 (2월) "강원도 지역의 축제분석과 발전방향"
제32회 (1월) "서울 지역의 축제분석과 발전방향"
2015년 학술세미나
제31회 (12월) "기지시줄다리기민속축제 성공개최를 위한 발전전략"
제30회 (10월) "남도음식문화큰잔치 향후 발전을 위한 학술세미나"
제29회 (9월) "문화관광축제 이대로 좋은가"
제28회 (8월) "거제 해금강마을 어촌6차 산업 활성화 방안"
제27회 (7월) "제3회 아시아 축제 포럼(THE 3rd ASIA FESTIVAL FORUM)"
제26회 (6월) "사단법인 한국축제포럼 발기인대회 및 창립총회"
제25회 (5월) "사단법인 등록 준비 모임 및 거제해금강마을축제 컨설팅"
제24회 (4월) "전라남도 3대여름축제 분석 및 향후 발전방안"
제23회 (3월) "기지시줄다리기축제 분석 및 향후 발전방안"
제22회 (2월) "축제연구포럼 발전을 위한 대 토론회"
제21회 (1월) "축제연구포럼 발전을 위한 운영위원모임"
2014년 학술세미나
제20회 (12월) "축제연구포럼 2014 송년모임"
제19회 (11월) "축제와 예술"
제18회 (10월) "화성 햇살드리축제 방문과 화성 지역답사"
제17회 (9월) "안성맞춤 남사당 바우덕이축제 발전을 위한 스토리텔링 전략"
제16회 (8월) "축제연구포럼 팔월의 풍류마스"
제15회 (7월) "축제와 종교"
제14회 (6월) "담양대나무축제 방문 및 대나무축제 발전방향 세미나"
제13회 (5월) "축제와 무속"
제12회 (4월) "해설이 있는 운현궁 답사 및 연등회 방문"
제11회 (3월) "축제와 죽음 그리고 제의"
제10회 (2월) "축제현장 방문 - 평택 소리터"
제9회 (1월) "축제와 성인식 그리고 혼례"
2013년 학술세미나
제8회 (12월) "축제연구포럼 송년모임"
제7회 (11월) "축제의 명칭과 변용에 관한 학제적 접근"
제6회 (10월) "축제와 커뮤니케이션"
제5회 (8월) "마을공동체 만들기-마을축제의 기획과 접근법"
제4회 (7월) "월드비트 비나리 공연 관람과 만남의 장"
제3회 (6월) "현장에서 바라본 축제-지역축제 기획과 발전방향"
제2회 (5월) "굿 콘텐츠에 대한 축제활용 방안"
제1회 (4월) "궁중의례의 축제 콘텐츠활용방안"